반응형
주로 쓸거같은 기능 + 모르는 것들만 따로 또 빼둠
- 컴파일언어는 코딩을 마치고 나면 프로그래밍 언어로 짠 코드를 컴파일이란 과정을 통해 다른 형태로 바꿔줌
- 인터프리터언어는 코딩 후 다른과정을 거치지않고 인터프리터를 통해 바로 기계어로 번역한다.
- 컴파일 언어들은 보통 정적타입 인터프리터 언어들은 동적 타입의 자료형을 갖고있다.
- 요즘 타입스크립트라는 언어가 스크립트언어로는 핫한데 핫한 이유는 동적타입인 자바스크립트의 문법오류를 타입스크립트를 통해 컴파일 해 검증한 후 자바스크립트로 이식하며 안정성이 올라가게 되었기 때문이다.
반응형
'공부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ry? catch? 예외처리란 뭐 하는 건가요? (0) | 2023.02.27 |
---|---|
부동소수점 (0) | 2023.02.27 |
프로그램의 에러는 왜 일어날까요? (0) | 2023.02.27 |
문자 인코딩, 유니코드, UTF-8이 뭔가요? (0) | 2023.02.27 |
JVM, JRE, JDK가 뭔가요? (0) | 2023.02.24 |